맞춤법3 게요 께요 이거 하나로 정리 끝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지만 여전히 헷갈리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게요 께요 인데요. 일상에서는 어떤 단어가 올바른 표현인지 오늘은 게요 께요 이거 하나로 정리 끝내기 해보겠습니다. 목차 1. 게요 2. 께요 3. 예문 4. 함께 보면 좋은 글 5. 마치며 게요 게요는 해요체로 일상생활에서 주로 구어체로 쓰이며 종결어미로 문장이 끝날 때 사용합니다. 종결어미로 어떤 사실에 대해 상대의 의도를 묻는 뜻으로 나타냄 → 벌써 학교에 들어가시게요? → 그 상자로 무엇을 만드시게요? 어떤 사실이 부정적임을 드러내기 위해 상대에게 반어적으로 묻는 뜻을 나타내며 쓰는 말 → 그 사람이 한 번이라도 도와줬으면 괜찮게요? 상대에게 추측하여 답해 보라는 태도로 어떤 사실에 대해 묻는 뜻을 나타내는 말 → 저기 보.. 2024. 3. 26. 뵈요 봬요 안되요 안돼요 맞춤법 완벽 정리 그럼 내일 뵈요. 왜 안되요? 어색하게 보이시나요? 일상생활에서 너무나 많이 사용하는 뵈요,봬요,안되요,안돼요 하지만 사용할 때마다 헷갈려서 멈칫 하시진 않으셨나요? 오늘은 뵈요 봬요 안되요 안 돼요 맞춤법에 대해 완벽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뵈요 봬요 2. 안되요 안 돼요 3. 함께 보면 좋은 글 4. 마무리 뵈요, 봬요 올바른 표현 뵈다 , 뵙다 뵈어요 , 봬요 뵈요 뜻 사전적 의미는 ' 웃어른을 대하여 보다 '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 봬요 뜻 뵈다의 활용형으로 뵈어요 → 봬요 로 줄임말입니다. 예문 다시 언제 봬요(뵈어요)? 오늘 부모님을 봬(뵈어)서 너무 좋았습니다. 건강 잘 챙기시고 나중에 봬요(뵈어요) 나중에 뵐 수 있나요? 나중에 뵈러 갈게요. 안 돼요, 안되요 올바른 .. 2024. 3. 22. 에요 예요 완전정복 더이상 헷갈림 끝 유독 헷갈리는 맞춤법 중에 하나가 에요와 예요의 차이인데요. 쉬운 것 같지만 막상 사용하려면 알쏭달쏭 너무 어려운 에요와 예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일상생활에서 헷갈려하는 에요 예요 완전정복 더이상 헷갈림 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에요.예요 2. 예외 3. 마무리 에요. 예요. 받침이 있으면 → 이에요. 받침이 없으면 → 예요. 앞에 단어에 받침이 있는 경우 '이에요' 이건 공책이에요. 이것은 수박이에요. 앞에 단어에 받침이 없이 끝나는 경우 "예요" 예요는 이에요의 줄임말입니다. 헷갈리신다면 이에요를 넣어보세요. 이것은 상자이에요. → 어색하게 느껴지죠? 받침이 없는 경우는 예요로 줄여 써주세요. 이것은 상자예요. 저것은 샤프이에요. → 어색합니다. 받침이 없는 경우는 예요로 써주세.. 2024. 2. 27. 이전 1 다음